본문 바로가기

nanoparticle2

나노입자의 표면 전하, 제타 전위 (Zeta potential) 분석 - 나노입자 분산액의 안정성 안녕하세요! 지난 시간에는 동적광산란, DLS를 이용한 나노입자의 크기 분석에 대해서 알아보았었습니다. 2023.04.13 - [공부할 시간/분석장비] - DLS (Dynamic Light Scattering), 동적 광산란 - 나노입자의 사이즈 분석 위 글에서, DLS가 입자의 움직임을 측정해서 사이즈에 대한 정보를 알아낸다고 말씀드렸었는데요. 이렇게 용액 내에서 입자의 움직임을 측정해서 알아낼 수 있는 정보가 또 하나 있습니다. 바로 입자의 표면전하이지요. 오늘 다룰 내용은 입자의 표면전하를 분석하는 방법 중 하나인, 제타전위, 제타포텐셜, Zeta potential 분석입니다. 제타 전위는 용액 내 입자의 분산도를 평가,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지표이며, 수처리, 반도체, 의학, 제약, 화학 등 다양.. 2023. 7. 14.
UV-Vis Spectroscopy - 나노입자 정성 분석 (Qualitative analysis of nanoparticles) - 국부적 표면 플라즈몬 공명 (LSPR), 레일리 산란 (Rayleigh scattering) 지난 시간에는 반도체 나노입자인 퀀텀닷의 정성분석을 위한 UV-Vis Spectroscopy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. 그렇다면 반도체가 아닌 다른 나노 입자들은 어떤 UV-vis absortion 특성을 보일까요? 오늘은 UV-Vis Spectroscopy로 분석할 수 있는 귀금속나노입자의 국부적 표면 플라즈몬 공명 (LSPR,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)와 일반적인 나노입자들이 발생시키는 Rayleigh scattering(레일리 산란)에 대해서 알아볼게요. 귀금속나노입자의 UV-Vis Spectroscopy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Gold, 금의 색깔은 빛나는 노란색이죠. 하지만 노란색의 금이 나노 사이즈의 입자가 되면 전혀 다른 색깔을 보여줍니다. 위 사진은 '금 .. 2023. 1. 9.